■ 김수현 / 과학재난팀 캐스터<br /><br />[앵커]<br />연일 35도 안팎의 가마솥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말은 올여름 들어 가장 더울 것이라고 하는데요, 북상하는 5호 태풍 노루는 한반도를 비껴가 일본 규슈에 상륙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폭염과 태풍 전망, 과학재난팀 김수현 캐스터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우선 폭염 상황부터 알아보죠, 오늘은 어제보다 더 덥다면서요?<br /><br />[캐스터]<br />오늘도 펄펄 끓는 듯한 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.<br /><br />여전히 영동과 경북 동해안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 중인데요, 이 가운데 수도권을 비롯한 대두분 지방이 35도를 기준으로 하는 폭염경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오늘 기온을 보면 서울과 대전 34도, 춘천과 광주, 대구 35도로 어제보다 1~3도가량 높겠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에는 서고동저형 더위라고 말씀드렸는데 오늘은 강릉과 포항도 30도까지 오릅니다.<br /><br />이번 주말에도 폭염은 계속됩니다.<br /><br />내일과 모레는 서울이 35도까지 오르면서 올여름 들어 가장 더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태풍이 몰고 온 열기가 가세하기 때문인데요, 푹푹 찌는 폭염이 계속되면서 건강한 사람이라도 온열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만약 온열 질환에 걸리게 된다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나요?<br /><br />[캐스터]<br />대처법을 설명하기 전에 요즘 같은 무더위에 걸리기 쉬운 온열 질환의 종류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크게 열 탈진과 열사병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열 탈진은 우리가 흔히 '더위 먹었다'라로 표현하는 질환이라고 보면 됩니다.<br /><br />무더위 속에 충분한 수분 섭취 없이 작업하거나 활동을 할 때 발생하기 쉬운데요, 어지러움, 구토, 무기력감이 나타나지만 체온 상승이나 의식을 잃지는 않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그늘지고 시원한 공간에서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면 쉽게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열사병도 발생 원인도 열 탈진과 같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열사병은 극심한 탈수 현상이 일어나고, 체온이 높아지면서 의식을 잃게 되는데요, 심한 경우 심각한 뇌 손상을 입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열사병이 의심되면 그늘로 옮긴 뒤 체온을 낮춰주고 신속하게 병원으로 옮겨야 합니다.<br /><br />또 열 탈진과는 달리 환자에게 물을 먹이는 건 금물입니다.<br /><br />물이 기도로 넘어가 호흡 곤란을 일으키거나,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7080410194276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